[독서신문 전진호 기자] 정물화라면 으레 세잔, 고흐, 샤르댕 등 서양화가를 떠올리지만, 조선시대에도 정물화가 있었다. 바로 책거리다. 서양의 정물화처럼 일상적인 물건이나 꽃을 그린 것이 아니라, 책으로 특화된 정물화다.
세계 각국의 정물화 가운데 명칭에 ‘책’이라는 키워드가 들어있는 것은 조선의 책거리가 유일하다. 책거리에는 책을 비롯해 도자기, 청동기, 꽃, 과일, 기물, 옷 등이 등장하는데, 한마디로 책과 물건을 그린 정물화다.
조선에서는 네덜란드 정물화보다 한 세기 늦은 18세기 후반에 정물화가 성행했고, 20세기 전반까지 200년 남짓 왕부터 백성까지 폭넓게 책거리를 향유했다. 그 예술세계도 세계 미술계가 주목할 만큼 독특하고 다양하다.
이 책은 한국 채색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책거리의 모든 것을 소개한다. 책거리가 탄생하고 성행한 역사적, 사회경제적, 문화적 배경을 다루는 동시에, 젠더적 표현과 우주적인 상상력, 현대적인 표현 기법에 이르기까지, 오늘날까지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책거리 특유의 모더니티를 해부한다.
저자는 한국 전통문화 중 세계화 가능성이 가장 큰 장르가 민화라는 믿음으로 20여년간 국내외 박물관과 개인 컬렉션 등을 찾아다니며 민화를 발굴, 연구했으며 한국민화학회와 한국민화센터를 창립한 정병모다.
『세계를 담은 조선의 정물화 책거리』
정병모 지음│다할미디어 펴냄│300쪽│20,000원
저작권자 © 독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