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살면서 정말 많은 공부를 합니다.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서, 좋은 직장에 들어가기 위해서, 승진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공부합니다. 때로는 좋아하는 악기를 더욱더 잘 다루기 위해서 공부하기도 합니다. 공부는 우리가 좋은 성과를 내고, 무엇을 더욱더 잘할 수 있게 해주는 ‘지식’처럼 느껴집니다. 그러나 삶은 항상 단조롭지 않고 평탄하지도 않습니다. 공부를 하다 보면, 누구에게나 한 번쯤은 깊은 회의감이 밀려오기 마련입니다. 특히, 국·영·수를 포함한 각종 기초 학문을 공부해야 하는 청소년기에는 공부에 대한 첫 회의감을 경험하게 됩니다. ‘나는 수학자가 될 것도 아닌데 왜 수학을 공부해야 하지?’, ‘영어가 중요한 건 알겠어, 그런데 왜 이렇게까지 해야 하지?’, ‘내가 읽고 싶은 책은 따로 있는데, 왜 정해진 필독서를 읽어야 하지?
오늘 보기에 당장 재미없고 지루한 것들, 앞으로 내 인생에서 정작 필요할 것 같지도 않은 것들을 배우려니 있었던 목표 의식도 사라지게 됩니다. 이런 경험으로 우리는 공부가 참 어렵고 고통스러운 것이라고 인지하게 됩니다. 특히, 대한민국에서 공부는 사회적으로 모두가 마땅히 성취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무엇을 이루기 위해 억지로라도 반드시 해야 하는 ‘일시적인 활동’으로 왜곡되고 있습니다.
일본의 학자 ‘후쿠자와 유키치’는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공부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이와는 조금 다른 철학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공부하는 것이 인간으로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자연스럽고 필수적인 활동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런 자신의 철학을 『학문의 권장』이라는 책에 잘 담았습니다.
“하늘은 사람 위에 사람을 만들지 않고 사람 밑에 사람을 만들지 않는다.” 『학문의 권장』의 첫 문장입니다. 학문을 이야기하는 이 책은 왜 이런 문장으로 서두를 시작했을까요? ‘인간’ 그 자체만 생각해 보면, 우리는 모두 동등할 수도 있습니다. 아니, 동등함이 마땅합니다. 생명은 값을 매길 수 없고, 귀천을 따질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인간이 살면서 경험하는 ‘배움의 차이’는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이것은 ‘인간 불평등의 원인’이 됩니다.
‘배움’이라는 것을 쉽게 풀어서 설명해 볼까요? 저는 이 배움이라는 것이 ‘세상에 대한 이해’라고 생각합니다. 세상과 그 안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다른 이들보다 더 잘 이해하는 사람은 지금, 이 순간에도 끊임없이 만들어지고 있는 역사 속에서 더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일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더 많은 부귀영화를 쌓을 수 있을지도 모르죠.
예를 들어, 경제를 잘 이해하는 사람은 성공적인 투자를 통해서 큰돈을 벌 것입니다. 나무를 잘 이해하고 있는 목공은 어떨까요? 다른 목공들과 비교해서 훨씬 더 수준 높은 공예를 선보일 수 있겠죠. 이처럼 배움은 우리를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수준보다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하게 해줍니다.
반대로 배우지 못함, ‘무지(無知)’는 우리를 두 가지 결론으로 이끕니다. 무지한 자, 지혜롭지 못한 자는 자신만의 세계에 갇히게 됩니다. 동굴 안에서만 살고 밖으로 나오려 하지 않는 사람은 동굴 밖의 세상이 어떤지 알 수 없습니다. 플라톤이 『국가』라는 책에서 말한 것처럼, 단지 동굴의 벽에 비친 그림자만 보면서, 그리고 소리만 듣고서 세상의 모든 것을 다 이해하며 삶을 잘 살아가고 있다고 착각하죠.
간단한 예를 들어볼까요? 여러분은 한 번쯤 축구 경기를 보며 이렇게 생각한 적이있을 것입니다. “와, 어떻게 저걸 못 넣지? 저 상황에서는 나라도 골을 넣겠다” 하지만 막상 경기장에서 직접 축구를 경험하면, 골을 넣는다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TV에서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닌 것이죠.
또한 무지한 자는 다른 사람에게 휘둘리게 됩니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판단하는 능력이 없어서 타인에게 의지할 수밖에 없습니다. 사과가 무엇인지 모르는 친구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 친구에게 누군가가 “사과는 검은색이야”라고 말해준다면, 우리의 불쌍한 친구는 검정 사과라는 허구의 과일을 믿게 될 겁니다. 그리고 진짜 사과가 눈앞에 나타나더라도, 그것이 진정한 사과라고는 전혀 상상할 수도 없겠죠. 더 심각하게는, 다른 사람들이 그것을 사과라고 말하는 것을 보면서, 다른 사람들이 무지하다고 여기게 될지도 모릅니다. 혹은 자신을 놀리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죠.
배움의 유익과 무지의 해악, 이 둘을 살펴보면 결국 공부란 개인의 ‘자유’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내가 원하는 것을 추구하며 옳은 일을 하는 것은 배움을 통해 지혜를 쌓은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힘입니다. 그렇지만 아무리 많이 배워서 자유로워졌다고 한들, 인간은 결코 혼자서 살아갈 수는 없습니다. 한 지혜로운 인간이 진정으로 자유로워지려면, 다른 사람들도 함께 지혜롭고 자유로울 수 있도록 도울 수밖에 없죠.
그러므로 학문을 하는 사람에게는 ‘자유’와 ‘지혜’라는 철학을 무지한 사람에게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에 대한 막중한 무게의 책임이 주어집니다. 잘 가르치고 인도하려면, 학문을 탐구하고 철학을 하는 ‘나’ 자신이 먼저 잘 배우고 익혀야 합니다. 이때 배움은 탁상공론이라기보다는 행위에 더 가깝습니다. 나만 알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것으로 세상의 다른 사람들과 끊임없이 연결되는 행위입니다. 그러므로 공부는 ‘개인’으로부터 시작되어 다른 사람들, 그리고 세상으로 뻗어 나가는 것입니다.
“우물 안 개구리가 되지 않도록 하라.”
결국 공부를 하는 이유는 자신만의 세계에 갇히거나, 타인에게 힘없이 조종당하지 않기 위함입니다. 이 말은 하나의 자유로운 인간이 된다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이런 배움의 유익은 가만히 앉아서 책만 들여다본다거나 학교 공부만 열심히 한다고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수많은 학문을 연구했지만 자기 자신의 철학에 빠져서 세상과 소통할 수 없는 학자를 만나본 적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전교 1등을 놓치지 않았던 인재였지만, 세상을 향한 대의보다는 개인의 사리사욕에 사로잡혀서 가장 협소한 세계에 갇힌 채 살아가는 사람도 많죠.
그렇다면 배움의 유익을 제대로 경험할 수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이 옳은 것인지 끊임없이 질문하는 것입니다. 당연해 보이는 것들도 다시 한번 질문해 보는 것입니다. 그리고 내가 알고 있고, 배워온 것들이 혹시 틀린 것은 아닌지 의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컴퓨터 스크린 속 세상이 아닌 실제 세상을 경험해 보려고 시도해야 합니다. 검정 사과를 믿어버리지 않기 위해서 말이죠.
이러면 배움의 유익에 도달할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아직 한 단계가 더 남았습니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책을 마무리합니다.
“그리고 사람으로 태어나 사람을 꺼리지 마라.”
그는 가장 중요한 것이 인간 간의 ‘화합’에 있다고 말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혼자서만 자유롭게 되고 세상에 대한 지식과 부를 얻어 다른 이들을 배척하거나 그들 위에서 군림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함께 삶을 잘 살아나가는 것. 이것이 우리가 공부하는 궁극적인 목적이자, 공부로 얻을 수 있는 가장 귀중한 유익입니다. 공부란 인간의 본분을 찾아가기 위한 과정입니다. ‘인간으로서 어떻게 사는 것이 옳은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 우리의 인생 자체가 곧 공부입니다. 이 공부에는 정답이 없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우리가 인간으로서의 본분을 향한 자세를 잃지 않는다면, 앞이 보이지 않는 어둡고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분명 올바른 길로 나아갈 수 있는 한 줄기 빛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