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농어민 등 정보 취약층에게 ‘맞춤 정책’ 필요

2021-09-28     방은주 기자

고령층, 농어민, 장애인, 저소득층과 같이 정보 접근이 어려운 계층의 스마트폰, PC 등 활용 능력, 정보 이용 능력 등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일반 국민의 70% 수준인 가운데, 디지털 정보격차를 줄이는 계층별 맞춤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정희용 의원(국민의힘, 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2020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4대 정보 취약계층(장애인·저소득층·농어민·고령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72.9%으로 나타났다.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일반 국민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100으로 두고 측정한 수치를 분석했다.

계층별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고령층이 68.6%로 취약계층 평균 72.7%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어 농어민 77.3%, 장애인 81.3%, 저소득층 95.1%를 차지했다. 저소득층은 고령층에 비해 26.5%의 높은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나타냈다.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4대 정보 취약계층의 ‘PC 및 모바일 스마트기기의 이용 능력’을 의미하는 디지털 정보화 역량이 60.3%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어 디지털 정보화 활용 74.8%, 디지털 정보화 접근 93.7% 순으로 나타났다. 정보 취약계층의 정보 접근은 93.7%로 정보 역량 60.3%에 비해 33.4% 높은 수치로 집계돼 디지털 정보화 역량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가능하다.

정희용

정희용 의원은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 50조에 따라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을 의무적으로 시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계층별 맞춤형 정책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고령층을 비롯한 농어민·장애인·저소득층의 계층별로 차별화된 교육 정책도 필요하지만 코로나 시대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디지털 정보격차를 완화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독서신문 방은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