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신문 김승일 기자] 2016년 우리나라의 1차 에너지 공급구조를 보면 석탄이 27.8%, 석유 40.1%, 천연가스 15.4%, 원자력 11.6%, 수력·신재생에너지가 5.1%다. 우리나라는 약 95%에 해당하는 화석연료와 원자력을 수입한다. 특히, 원자력의 원료인 우라늄은 중수로인 월성 1~4호기에 쓰는 천연 우라늄을 제외하고는 모두 미국과 영국, 프랑스, 러시아에 농축을 의뢰해야 한다. 원자력발전을 함으로써 우리나라는 이들과 관계가 틀어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 원전은 가동이 멈추는 순간부터 관리 비용만 계속 들어가는 돈 먹는 하마가 된다.
서울대 기상학과를 나와 기후변화에 관해 연구하며 그 기저에 깔린 에너지 문제에 천착하게 됐다는 저자는 이 책에서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의 역사를 훑고, 그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일제는 국내 탄광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수입량을 밑돌던 국내 석탄생산량은 1934년 169만7,000t으로 수입량을 넘어섰다. 1937년 중일전쟁으로 군수품 수요가 늘자 조선총독부는 석탄을 통제하는 배급 통제 규칙을 제정했다. 1938년에는 조선 중요 광산물 증산령을 발동해 강제 개발 명령을 내렸고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광업권을 양도하라고 지시했다. 일제는 여성까지 탄광으로 몰아넣었다. 평안북도 지역에는 여자 갱부가 1,200명에 달했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인 석탄화력발전소의 가동 축소, 안전성에서 치명적인 원전의 단계적 축소 등을 내세우고 있다. 일부 언론은 이런 정책 방향에는 이의를 달지 못하면서도 원전 산업계와 학계의 반발, 전기요금 인상, 미관 등을 거론하며 부정적인 시선을 끼워 넣기 바쁘다. 일각에서는 특정 언론사가 원전 산업계와 이익으로 얽혀있다고 보기도 한다. 태양광 발전 용량은 중국, 미국, 독일, 일본 순으로 크다. 사진은 태양광발전의 95%가 소규모인 일본의 한 마을.
최근 몇 년간 일련의 지진으로 가장 주목받은 시설은 원전이었다. 지진이 발생한 우리나라 남동부는 경주시 관할 구역 내에 6기를 포함해 부산에 6기, 울진에 6기의 원전이 있는 세계적인 원전 밀집 지역이다. 과거 울산에 4기, 경북 울진에 2기, 경북 울진에 2기, 경북 영덕에 2기 등 추가로 10기의 원전을 건설할 계획이었다. 현실이 됐다면 한반도 남동부는 모두 34기의 원전이 오밀조밀 모여 있는 세계 최대의 원전 밀집지역이 됐을 것이다. 이 주변에는 중저준위 핵폐기물 지하 저장 시설이 밀집해있기도 하다.
인공위성이나 우주정거장이 태양전지를 쓰는 반면 달 탐사를 목표로 했던 제미니와 아폴로에는 연료전지가 탑재됐다. 음극에 공급된 수소에서 촉매로 인해 전자가 분리되고, 전해질을 통과한 수소이온이 양극에서 산소와 결합해 물이 되는 것이 연료전지의 원리다. 수소와 산소로 전기를 만들 뿐 아니라 물이라는 부산물까지 만들어내는 연료전지가 우주선에는 더없이 반가운 에너지 생산 방식이었다.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 어디로 가는가?』
신동한 지음|생각비행 펴냄|224쪽|15,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