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신문 한지은 기자] 우리는 하루에도 수많은 건물을 스쳐 지나간다. 언제나 묵묵히 그 자리에 있는 건축물들은 생활의 일부분으로써 우리를 감싸고 있다. 그러나 일을 하던, 밥을 먹던, 친구를 만나던, 모든 이가 최종적으로 도착하는 곳은 ‘집’이다. 우리는 그 속에서 안식을 느끼며 안정감을 되찾는다.
그 옛날, 집 없이 떠도는 사람들은 “하늘이 지붕이고 땅이 이불”이라고 종종 말했다 한다. 실제로는 집이 없어도 하늘을 지붕으로 여기고 땅을 이불로 삼아야 마음의 위안이 됨을 보여주는 맥락이다. 그만큼 집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 생활의 기반이 되고 몸과 마음의 지주가 되는 특별한 재화였던 것이다.
집과 각종 건물들의 역할은 그저 사람들의 생활공간이 되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집의 형태는 곧 사회와 문화의 형태를 반영한다. 고대부터 중세, 근대에 이르기까지 각 사회를 구성한 집의 형태는 그 자연환경과 문화에 따라 달랐다. 역사를 담고 있는 건물들은 우리에게 여러 가지를 알려준다. 이집트에서 가장 권력이 강한 것은 왕이었다는 사실이나 중세 유럽에서 가장 힘을 가진 것은 왕이 아닌 종교였다는 이야기, 혹은 더운 나라에서는 마루가 발달하게 마련이며, 시원한 마루와 따뜻한 온돌이 동시에 존재하는 한옥은 여름과 겨울의 뚜렷한 온도 차이를 대비하기 위한 전통문화라는 것 등, 집에서 발견하는 여러 질문들을 파악하다 보면 시대의 흐름과 역사적 사실, 환경과 같은 다양한 근원들을 찾을 수 있다.
이처럼 집은 사회의 모습을 그려내는 커다란 거울이다. 집과 건축물의 변화와 흐름, 그 사이에 얽힌 사회현상과 이야기를 살펴볼 때 사람은 세계를 읽는 큰 시야를 갖게 된다. 저자가 건축을 ‘사회적인 것’이라고 설명하는 이유이다.
시야를 달리해 내 눈을 이 건물들의 위로 끌어올려 보자. 이제까지 보이지 않았던 많은 것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그것은 바로 우리 삶과 사회의 구조이다. 우리가 드나드는 장소들의 이면에는 사람들의 주거 환경, 임대료와 부동산 가격 등 여러 사회적인 이야기들이 얽혀 있다. 이를 풀어내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집과 건물, 사회에 대한 유기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인문학적 시선에서 건축을 바라본다는 것은 우리가 어렵게 느끼게 마련인 ‘세상의 원리’를 좀 더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책은 그 이해를 쉽고 재미있게 도와줄 수 있는 가장 적확한 책이다.
■ 집에 들어온 인문학
서윤영 지음 | 들녘 펴냄 | 248쪽 | 12,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