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경제연구원은 평창 동계올림픽의 직·간접적 경제효과를 65조원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이 수치는 가정에 의한 추산치로 빈틈없는 전략을 세워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체계적인 노력이 뒷받침될 때 달성 가능하다.
첫째, 경기장이나 숙박시설 등 각종 인프라들은 대회 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까지 고려해 설계돼야 한다. 2002한·일월드컵을 위해 지어진 경기장 대부분이 수지를 맞추지 못해 천덕꾸러기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둘째, 개최국 위상에 걸맞은 경기력을 확보해야 한다. 개최국의 성적은 당장의 대회 흥행에 영향을 미친다. 7년이라는 시간이 남아 있는 만큼 정부와 재계가 힘을 합쳐 선수양성에 나서야 한다.
셋째, 중장기적으로 국가브랜드 제고와 같은 무형의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삼성전자·현대차·lg전자 등 글로벌 기업들이 세계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나 유럽의 k-pop 열풍 등은 제품이 잘 만들어지고, 우리 문화 수준이 갑자기 높아져서만은 아니다. 2002한·일월드컵 이후 높아진 국가 브랜드가 우리 기업과 제품에 대한 호감도를 견인하고 우리 문화에 대한 세계의 관심을 높였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국격을 높이는 대회가 되려면 문화올림픽과 생태올림픽이 되기 위한 노력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문화'와 '환경'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무시한다면 후진적인 대회라는 평가를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올림픽이 열리는 오는 2018년은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를 넘어서서 선진국으로의 도약을 꿈꾸는 시기일 것이다. 이때 세계가 우리를 주목하게 될 평창 동계올림픽은 대한민국 국가 브랜드 파워를 제고하는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독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