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 칼럼] 책을 읽는데도 인생이 나아지지 않는 이유는?
[발행인 칼럼] 책을 읽는데도 인생이 나아지지 않는 이유는?
  • 방재홍 발행인
  • 승인 2023.09.01 11:00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재홍 발행인

역사상 가장 무더웠던, 끝나지 않을 것 같던 여름을 지나 비로소 가을이다. 매일 아침 집을 나서며 피부에 닿는 공기의 밀도가 벌써 확연히 달라졌음을 느낀다.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란 상투적인 말을 곱씹게 되는 날씨다. 일각에서는 가을은 놀러 다니기 좋은 계절이지, 무슨 독서의 계절이냐며 최대 비수기를 극복하기 위한 출판계의 상술이라 비판하기도 한다. 하지만 선선하고 넉넉한 계절이 잠시 소홀히 했던 독서를 다시 시작할 좋은 핑계가 되어 준다면야.

우리는 왜 독서가 인생에 유익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점점 더 책을 읽지 않는 것일까.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 책을 많이 읽었다고 알려져 있다. 책을 읽지 않는 시대라지만, 부와 성공을 거머쥔 저자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부자가 되는 법, 성공 비법을 다룬 책은 불티나게 팔린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책을 읽으면 성공한다’는 단순한 도식은 언제나 성립하지 않는다.

“열심히 책을 읽는데도 제 인생은 왜 나아지지 않는 걸까요?”

회원 6,000만명을 보유한 중국의 전자책 앱 ‘판덩독서’의 창업자로서 매년 책 50권 읽기 운동을 펼쳐 온 판덩은 젊은 세대에게 이런 질문을 자주 듣는다고 한다. 판덩은 “이는 물 한 잔으로 장작더미에 붙은 불을 끄려는 생각과 다르지 않다”고 잘라 말하며 “노력이 임계점을 돌파하는 그 순간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가 동양 최고 고전 중 하나인 『맹자』에서 현대인의 삶에 참고가 될 만한 내용을 추려 쉽게 풀어낸 책 『인생의 저력』에 나오는 이야기다.

맹자는 중국 역사상 가장 많은 사상이 나타나고 부딪혔던 전국시대를 살아간 인물이다. 여러 제후국들이 잔인한 전쟁을 벌이던 약육강식의 시기에 ‘군주가 어질면 민심도 저절로 따라온다’며 ‘인(仁)’과 ‘의(義)’를 중시했던 그의 사상은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는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어디에도 등용되지 못하고 낙향해 제자들과 함께 학문에 매진한 결과가 이후 수천 년에 걸쳐 많은 이들에게 인생의 지혜를 전하는 책 『맹자』로 남은 것이다.

“오곡은 품종이 좋은 곡물이지만, 충분히 익지 않으면 개피풀만도 못하다”는 맹자의 말에서 세상의 평가에 흔들리지 않고 우직하게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학문을 연마한 그만의 끈기와 저력이 느껴진다. 판덩은 이 이치가 우리 삶의 가치를 실현하는 과정에도 적용된다며 “하려는 것이 무엇이 되었든, 그게 건강한 몸을 만드는 일이든 학문을 연구하는 일이든 결실을 보기 전까지는 일관된 마음 ‘항심(恒心)’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일관된 마음으로 나아가려면, 우선 자신만의 명확한 비전을 세워야겠다. 맹자는 인간의 성취를 두 종류로 구분했다. 외부로부터 얻어지는 명예, 직급, 재물 등을 ‘인작(人爵)’이라 했고, 이와 달리 내면에서 스스로 얻을 수 있는 작위를 ‘천작(天爵)’이라 했다. “시인이 되고 싶다면 시를 잘 쓰면 되고, 선한 사람이 되고 싶다면 선한 행동을 많이 하면 된다. 이러한 것들은 우리가 언제 어디서든 나의 의지로 행할 수 있다.”

인작과 천작 둘 중 하나만 가져도 세간의 존경을 받지만, 어느 쪽을 얻고자 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선택을 하게 된다. 판덩은 “외부의 환경이나 사물이 우리에게 주는 명예와 영광은 너무나도 쉽게 사라진다”며 ‘천작’에 해당하는 ‘나만의 고결함’을 쫓을 때 진정한 의미에서의 성공을 이룰 수 있다고 조언한다. 나 자신을 존중하고 사랑할 수 있게 되면 타인의 존경은 저절로 따라오리라는 것이다.

“귀해지고 싶은 마음은 사람 누구나 다 똑같다. 사람은 누구나 각자 귀한 것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을 잘 생각하지 못한다” 이 가을, 귀한 시간을 내어 책을 읽기로 결심한 당신에게 건네고 싶은 맹자의 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비회원 글쓰기 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macmaca 2023-09-01 18:25:14
석전대제로 유교의 부분집합중 하나임.국사 성균관(성균관대)나라.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승계로, 6백년 넘는 역사를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는 한국 최고(最古,最高)대학. Royal 성균관대. 세계사의 교황반영, 교황윤허 서강대는 국제관습법상 성대다음 Royal대 예우. 두 대학만 일류.명문대임. 해방후 조선성명 복구령으로, 유교국가 조선의 한문성명.본관등록이 의무인, 행정법.관습법상 유교나라 한국. 5,000만 한국인뒤 주권없는 패전국 불교 Monkey 일본의 성씨없는 점쇠(일본에서는 천황). 그뒤 한국에 주권.학벌없는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점쇠가 세운 마당쇠). 그 뒤 새로생긴 일제강점기 초급대 출신대나 기타의 비신분제 대학들.

macmaca 2023-09-01 18:24:32
@동아시아 세계종교인 유교나, 서유럽의 세계종교인 가톨릭의 하느님은 인간을 창조하신 절대적 초월자이십니다.

@ 공자님의 시호. 하늘이 보내신 성자이신 성인 임금 공자님은 황제 칭호인 문선제(文宣帝).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의 오랜 전통으로 호칭되어 오고 있습니다.聖人에 이르신 스승(至聖先師). 은나라 왕족의 후손이신 공자님. 참고로 하면, 공자님 아버지 시호는 계성왕(啓聖王)이시고 공자님 어머니 시호는 계성왕 부인(啓聖王夫人)이십니다.

http://blog.daum.net/macmaca/3127@한국 유교 최고 제사장은 고종황제 후손인 황사손(이 원)임. 불교 Monkey 일본 항복후, 현재는 5,000만 유교도의 여러 단체가 있는데 최고 교육기구는 성균관대이며,문중별 종친회가 있고, 성균관도 석

  • 서울특별시 서초구 논현로31길 14 (서울미디어빌딩)
  • 대표전화 : 02-581-4396
  • 팩스 : 02-522-6725
  • 청소년보호책임자 : 권동혁
  • 법인명 : (주)에이원뉴스
  • 제호 : 독서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379
  • 등록일 : 2007-05-28
  • 발행일 : 1970-11-08
  • 발행인 : 방재홍
  • 편집인 : 방두철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고충처리인 권동혁 070-4699-7165 kdh@readersnews.com
  • 독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3 독서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readersnews.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