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신문 방은주 기자] 전국 17개 시・도별 콘텐츠 공모사업 선정 대부분이 서울·경기 등의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이달곤 의원(국민의힘 창원진해구)이 한국콘텐츠진흥원으로부터 받은 ‘시・도별 콘텐츠 공모사업 선정 현황’에 따르면, 올해 전국 17개 시・도별 콘텐츠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521건 가운데 452건(서울 336건, 경기 116건)인 86.8%, 지원액 868억 6400만원 중 741억 1600만원(서울 568억 4900만원, 경기 168억 6500만원)인 84.8%가 수도권에 집중돼있다.
특히 최근 5년간 전국 콘텐츠 공모 사업의 60% 이상이 서울 지역에 몰려있다. 서울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66.1%를 유지하다 2019년 61.7%, 올해 64.5%를 차지했다. 경기 지역은 2016년 19.3%(126건)에서 2020년 22.3%(116건)로 공모 사업 선정 비율이 증가했다.
지원금을 살펴보면, 서울지역이 2016년 537억 8500만원으로 전국에 배당된 지원금의 57.6%를, 올해 568억 4900만원으로 65.4% 비율을 차지했다. 경기도는 2016년 19.1%에서 2020년 19.4%로 소폭 올랐다.
![이달곤 의원이 지난 22일 열린 한국콘텐츠진흥원 국정감사에서 질의를 하고 있다. [사진=이달곤의원실]](/news/photo/202010/100882_68195_1439.jpg)
이 의원은 한국콘텐츠진흥원 등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콘텐츠산업의 지역 간 격차가 심각하다”며 “경남의 경우 콘텐츠관련 산업의 사업체수는 전국 5위, 종사자수와 매출액은 전국 6위로 특별시와 광역시를 제외하면 경기도 다음으로 높으나 실제 경남에 지원된 공모사업 건수는 2019년에 1.1%로 가장 높았고, 2016년 이후 매년 1% 이하에 머무른 반면 수도권은 최근 5년동안 건수는 평균 84.3%, 지원액은 73.8% 이상을 독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콘텐츠산업이 수도권에 집중이 되어서는 안된다. 인구와 경제력, 생활서비스 접근성 측면에서 지역 간 불균형이 지속되고 있는데 문화산업의 분권,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차원에서 정부가 특별히 대책을 세워, 매출액과 사업체수, 종사자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공모사업을 선정해야한다”고 말했다.